프로덕트 관리 개발 작업 관리의 기초 : PM의 역할은? 안녕하세요, 여러분! 👋 Riido입니다. 오늘은 PM에 대해 알아보고, Riido가 왜 PM을 대체하려 하는지 말씀드리려 합니다. PM과 기획자와의 차이점, 그리고 한국의 PM/PO 체제와 '개발 작업 관리'가 무엇인지 살펴볼게요! PM이란 무엇인가? PM은 크게 두 가지 역할을 포함합니다. * Project Manager (PM) 프로젝트 매니저는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계획, 실행, 모니터링, 통제, 종료
프로덕트 관리 넘쳐나는 개발 회의들, 어떻게 하고 있나요? (feat. 데일리 스탠드업 미팅) 현업에서 개발을 하다 보면 어느 순간 과장 조금 보태서 개발보다는 회의를 더 많이 하게 됩니다. 저도 월요일에는 코어타임 내내 회의만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데요, 분기별로 필요 없는 회의를 정리하고 또 정리해도 드라마틱하게 줄어들지는 않더라고요. “데일리 스탠드업”, “기획 회의” 그리고 팀 전체적으로 진행하는 “회고”까지 하면 사실상 하루라도 회의가 없는 날이 없는
프로덕트 관리 매일 반복되는 데일리 스크럼, 어떻게 하고 계세요? 데일리 스크럼이란 여러분도 오늘 데일리 스크럼 하셨나요? 데일리 스크럼이란 애자일 방법론 중 스크럼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주로 IT 프로덕트를 중심으로 하는 팀의 일일 회의를 말합니다. 데일리 스탠드업, 데일리 미팅 등 여러 이름으로도 불리는 데일리 스크럼은 스타트업과 IT 조직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업에서도 대중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초기 스타트업 개발팀에게는 거의 필수적이라고 여겨지는 미팅입니다.
프로덕트 관리 스타트업 인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애자일 (feat. 애자일 프로덕트 툴) ‘애자일하게 일한다’ 라는 말,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맞추어 조직은 신속하게 변화에 대응해야 합니다. 유연성, 효율성, 그리고 고객 중심적 사고에 중점을 두고 있는 '애자일'은 변화와 혁신이 요구되는 스타트업에게 특히 효과적인 방법론입니다. 애자일 방법론은 대개 스타트업에서 도입하곤 하지만, 최근에는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많은 기업들에서 관심을 가지고
프로덕트 관리 아직도 Jira 사용해서 Product 관리하신다고요? (feat. PM Tool) 여러분의 개발팀은 ‘프로덕트 관리’ 혹은 ‘이슈 트래킹’을 위해 어떤 Tool 을 사용하고 계시나요? 국내 현황 저희가 만나본 바로는 규모가 어느 정도 있는 기업(Series A 이상)은 Jira, ClickUp, Linear 를 많이 사용하고, 극초기 스타트업(Pre-A 이전)은 대부분 Notion을 사용하고 있더라고요. 하지만 되게 신기했던 것은, Notion을 사용하고 있는